NOWON WOMEN'S EDUCATION CENTER
Nominated - 2021 ArchDaily Buiding of the Year
Type : Public, Cultural
Design Period : 2017.06 ~ 2018.01
Status : completed (2019)
Site : 371-5 Sanggae-dong, Nowon-gu, Seoul
Site Area : 211 ㎡
Site Coverage Area : 116.90 ㎡
Building-to-Land Ratio : 55.40% (Max. 60%)
Total Floor Area : 397.78 ㎡
Floor Area Ratio : 140.64% (Max.200%)
Building Scope : B1, 4F
Building Height : 13.65m
Structure : RC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Steel Tube
Civil : Anam Engineering & Construction
Structure : Dongyang Sturcutrual Engineering
Mechanical : TaeYoung EMC
Electrical : CheonIl MEC
Construction : DoHwa Engineering
비좁은 틈새 대지
대지는 노원구 상계초등학교 사거리 근처에 있었다. 남측으로 지하철 4호선 고가선로가 지나가는 상계로에 면하고 번잡한 상업지역에 자리 잡았지만, 북측으로 다세대주택이 밀집된 주거지역과 닿아 있었다. 면적은 211m2(60여 평)에 불과했는데, 상계로에 접한, 너비가 4m 남짓한 부분이 안쪽으로 길게 13m정도 들어온 L자 형태였고, 들어온 부분은 사방으로 다섯 채의 건물들에 빼곡히 에워싸여 있었다. 여러모로 불리한 조건이었다. 현장을 방문했을 당시, 오랜 기간 비어 있었던 대지에는 환경미화원들이 잠시 쉬는 가설 건물이 있었다. 노원구는 이곳에 여성의 문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교육 커뮤니티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여성교육센터를 건립하고자 했다. 우리는 이 유휴 공간이 여성의 새로운 쉼터가 되어 공공의 접근을 유도하도록 건축적 제안을 하게 되었다.
A Confined and Narrow Site
The site was located near the crossroads of Sanggye Elementary School in Nowon-gu. To the south, there is a bustling commercial area facing Sanggye-ro road, whereas to the north there is a residential area in which multi-family houses are concentrated. The area was only 211m2, and an L-shape, where an approximately 4m-wide expanse followed the road to turn inward lengthways for about 13m. The zone that turned inward was surrounded on all sides by five different buildings. In many respects, the site conditions were unfavourable. When first visiting the site, one that seemed to have been vacant for a long time, there was a temporary building dedicated to sanitation workers to allow to take short breaks. Nowon-gu Office wanted to establish a women’s education centre here, which would focus on enhancing women’s literacy and accommodating various activities for the higher educational community. In order to make this disused space a welcoming shelter for women, it is needed an architectural proposal.
비좁은 틈새 대지
대지는 노원구 상계초등학교 사거리 근처에 있었다. 남측으로 지하철 4호선 고가선로가 지나가는 상계로에 면하고 번잡한 상업지역에 자리 잡았지만, 북측으로 다세대주택이 밀집된 주거지역과 닿아 있었다. 면적은 211m2(60여 평)에 불과했는데, 상계로에 접한, 너비가 4m 남짓한 부분이 안쪽으로 길게 13m정도 들어온 L자 형태였고, 들어온 부분은 사방으로 다섯 채의 건물들에 빼곡히 에워싸여 있었다. 여러모로 불리한 조건이었다. 현장을 방문했을 당시, 오랜 기간 비어 있었던 대지에는 환경미화원들이 잠시 쉬는 가설 건물이 있었다. 노원구는 이곳에 여성의 문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교육 커뮤니티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여성교육센터를 건립하고자 했다. 우리는 이 유휴 공간이 여성의 새로운 쉼터가 되어 공공의 접근을 유도하도록 건축적 제안을 하게 되었다.
남측입면
남측창과 루버같이 늘어선 원형철골기둥이 실내 채광을 조절하고, 외벽의 수직 패턴과 철골기둥의 조화가 입면의 섬세함과 부드러움을 완성한다.
주출입구 정면
들어올려진 매스, 수수하지만 섬세한 외관
대지에서 좁고 긴 진입부는 외부에서 내부로의 전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단초가 되었다. 우선 건물 매스를 들어올리고 도로 쪽으로 돌출시켜서 건물의 존재감을 부각했다. 띄워진 볼륨 하부의 진입 공간은 원형 루버로 둘러 싸인 반외부 공간으로 계획했다. 이를 통해 만남과 전시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한 유연한 공간을 형성하고 사람들의 접근을 자연스럽게 유도했다. 들어올린 콘크리트 매스는 둔탁한 기둥 대신 300mm 간격으로 놓은 가느다란 원형 강관들(50mm, 75mm, 115mm)로 지지된다. 이 원형 강관들은 지상 1층에서 옥상층 슬래브까지 관통하며 구조 역할도 수행하게 했다. 또한 원형 강관들이 이룬 패턴을 콘크리트 외벽에도 넣어서, 화려함보다는 수수함으로, 둔탁하지 않은 섬세한 모습으로 혼잡한 대지에서 건물이 자태를 드러내도록 했다.
A Diversity of Space Achieved Through Coordination
In many examples of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begin not only by respon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also by coordinating with the opinions of residents. This process also guides the design. When the first residents’ briefing session was held on-site, the level of opposition from the neighbouring residents was surprisingly high. This was due to the antipathy felt towards the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on top of prejudice directed towards building facilities for women. To resolve conflict with the residents the project team cooperated closely from the very beginning with the department in charge of the project, and also undertook a process of coordination by remaining in constant communication with the residents. In particular, by maintaining privacy and control of noise levels became crucial requirements, and as a result, the building was planned as inwardly-oriented. Nevertheless, numerous windows have been carefully placed in consideration of the lines of sight and heights of the adjacent buildings to secure sufficient light and views. Furthermore, vertical louvers were installed at the main entrance and the staircase, to not only control the light and block the sightlines but also to create a layered sense of space. In this way, diversity and depth of space were added during the process of coordination with the wider surroundings.
서측입면
인접 건물사이로 창을 내고, 원형철골기둥 레가 스크린 역할을 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채광 및 조망을 조절한다.
주출입구 접그로
An Elevated Mass with a Plain but Delicate Exterior
On the site, the narrow and long entrance became a threshold in which to form a transitional spac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First, the building’s mass was lifted upward to protrude towards the road, highlighting the building’s sense of presence. The entry space below the floating volume was planned as a semi-outdoor space surrounded by circular louvers. This design, throughout, prioritises various spaces that can be used flexibly for meetings and exhibitions, welcoming visitors and freeing up access. The elevated mass is supported by slender, circular steel pipes (50mm, 75mm, 115mm) that are placed by 300mm apart. Moreover, the patterns formed by the circular steel pipes were also placed on the concrete exterior walls so that the building expresses its own structural character on a crowded site, one that is unpretentious rather than glamorous, not dull but delicate.
지상 1층 다목적계단
1층 카페공간과 연계하여 다목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공간을 통해 지역사회 여성들의
쉼 공간을 제공한다.
공간의 켜
계단 최상부 천창
중앙 계단
공간의 확장, 공간적 시퀀스
노원여성교육센터는 연면적 398m2(120여 평) 규모에 지하 1층 강의실과 환경미화원 쉼터, 지상 1층 북카페와 사무실, 지상 2층과 3층 강의실, 그리고 지상 4층 도시락 카페와 옥상정원으로 채워졌다. 대지 면적에 비해 프로그램이 많이 삽입돼야 했다. 게다가 일조권 사선제한으로 층고를 높이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코어를 중심으로 평면을 단순하게 구성할 경우,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면서 답답해질 수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입체적이고 수직적인 공간 확장을 꾀했다.
The Expansion of Space, a Spatial Sequence
Nowon Women’s Education Center has a total floor area of 398m2. It has lecture rooms and rest areas for sanitation workers on the first basement floor, book cafés and offices on the first floor, lecture rooms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lunchbox cafés on the fourth floor, and a roof garden.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rest of the site, it became necessary to insert a number of programmes. It was difficult to achieve an increase in floor height due to the restrictions placed on the architectural slant line for optimal levels of daylight, so if the floor plan was simply designed by placing a core at the centre the interior space may feel closed and constrained. To resolve this issue, the idea of three-dimensional and vertical expansion of space was proposed.
|지상 2층 대강의실
다양한 규모의 강의와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무빙월을 설치하여 가변적 공간으로 활용한다.
지상 4층 도시락카페
외벽의 재질과 패턴이 내부로 연결되어 공간의 연속성과 대비를 보여준다.
지상 3층 강의실
좁고 제한적인 대지지만 공간과 공간이 수직적으로 확장되고, 천창을 통해 채광이 되는 다양한 공간을 통해 그 안에서 숨이 트이는 역할을 한다.
먼저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연결되는 계단의 위치와 폭을 변화시켜 3차원적으로 다양한 공간감을 주고, 계단실이 서가, 휴식, 전시 등 여러 용도로 유연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했다. 북카페, 대강의실, 도시락 카페 등의 프로그램은 복도와 실로 구획된 공간이 아니라, 외부와 연계되며 시각적으로 공간적으로 확장되도록 했다. 원형 강관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원형 강관으로 외부로 향하는 시선을 조율하고 계단 주변을 둘러쌓아서 공간의 층위도 생성했다. 또한 강관의 지름 크기에 변화를 주고 구조체, 루버, 벽체, 조명 기구 등에 두루 사용해, 건물 내외부를 통합하는 건축적 장치가 되게 했다. 사용자들은 들어올려진 매스 하부의 진입로를 거쳐 건물 내부로 들어온 뒤, 루버로 둘러싸인 입체적인 계단실을 통해 이동하며, 복도에서 계단실, 그 너머 외부 공간으로 시각적 확장을 체험한다. 이러한 공간적 시퀀스를 통해 작은 면적에서도 공간을 풍부하게 경험하도록 했고, 이를 통해 여성들이 배움과 소통, 휴식의 장소로 이곳을 찾게 되길 바랐다.
First, the location and width of the stairs were change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and varied various sense of space, and the staircase was designed in a way so that it could be flexibly used for various purposes. Programmes including book cafés, large lecture rooms, and the lunchbox café are not positioned in spaces divided by hallways or partitioned into rooms, but they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spatially and visually expanding. Circular steel pipes were also actively used. They were used to coordinate the sightline toward the outside and surrounded the stairs, stratifying the space. Moreover, the diameters of the steel pipes were changed to be used throughout the structures, louvers, walls, and lighting fixtures, making them architectural devices that integrat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The users enter the building through the entrance below the lifted mass, mov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staircase surrounded by louvers, and experience a visual expansion from the hallway, staircase, and to the exterior space beyond. Throughout this spatial sequence, the overall design intends for its occupants to experience an affluent space, so that women will find this place the best possible place for learning, communication, and repose.
옥상 계단식 휴게쉼터
지상 3층과 지상 4층에서 접근이 가능한 옥상쉼터는 도심 속 작은 하늘공원으로 방문객 누구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한다.
옥상 데크
계단 조명
조명을 통해 수직부재의 패턴과 섬세함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인테리어 조명
원형철골기둥에 모티브 한 조명하우징을 제작하여 디자인의 통일성을 강조한다.